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09 01:34본문
Download :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hwp
2. 구조조정 과정에서 나타난 주요 drawback(걸점)
① 성差別(차별) 적, 약자 희생…(drop)
레포트/경영경제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
공공부문,비정규직,구조조정,문제,경영경제,레포트
설명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


Download :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hwp( 59 )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 ,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의 문제 경영경제레포트 ,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 문제
다. 그 계획에 따라 광범위한 명예퇴직, 권고사직, 요약해고가 실시되었고, 기능직을 중심으로 외부용역, 외주화가 진행되어 공무원 신분에서 해고자가 되거나 (간접고용)비정규 노동자로 전락되었으며, 법적 분쟁도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법원은 政府(정부)주도의 공공부문 구조조정으로 인해 요약해고를 당한 노동자들이 제기한 소송에서 대부분 사용자 편의 손을 들어주었다.
순서
공공부문 비정규직 구조조정이 문제
1. 법원 판례의 태도
1998년 말 기획예산위원회는 각 출연·위탁기관의 예산 삭감액을 정하고 동시에 인력삭감 기준(인건비를 포함한 경상비의 20% 감축)을 지시하고, 보다 구체적인 감원방법은 각 기관의 주무부처에서 시달하였으며, 각 기관은 주무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경영혁신 계획을 제출해야 했다. 또한 ‘외부용역제가 효율적이고 전환이 용이한 주방·시설관리 등 업무에 종사하는 기능직 노동자들을 요약해고한 것은 생산성 향상 내지 경쟁력 회복을 위하여 객관적으로 합리성이 있다’며 요약해고의 정당성을 인정한 것은 기업이 정규직 노동자들을 간접고용노동자로 전락시켜 인건비를 절감하고, 용역계약을 해지하거나 재계약을 거부하는 등 고용불안을 초래하는 것 자체를 폭넓게 인정하는 것으로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그 이유는 첫째, 政府(정부)의 예산상 이유로 보조금 등 감축이 있으면 요약해고의 요건인‘경영상 긴박한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 政府(정부)의 지침에 의한 ‘외주·용역화가 생산성 향상 내지 경쟁력 회복을 위하여 객관적으로 합리성이 있다’며 요약해고의 정당한 사유로 인정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이와 같은 법원의 태도는 사실상 政府(정부)의 ‘00% 인건비 삭감’과 같은 임의적 구조조정 기준이 요약해고의 정당한 사유로 인정되어 실질적인 일자리가 줄어들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무제한적인 요약해고가 가능하게 하며, 해고되지 않은 노동자들에게는 노동강도 강화, 해고자들에게는 생존권을 위협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