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test(실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08 20:50
본문
Download :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실험.hwp
ㅁ. 온도에 대한 특성(特性) alteration(변화) 가 작다.
발광 소자(LED)
LED는 현재 파장이 480nm에서 950nm 정도의근적외선 파장 대역의 소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수광소자의 분광 감도 peek가 일반적으로 적외선 영역인 약 900nm이고, 또한 적외 LED쪽이 가시광 LED에 비해 양자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Si dope한 GaAs(적외) LED(950nm)는 직접 천이형이기 때문에 양자 효율은 약10%로 높은데 비해서 N dope GaP(녹색) LED(565nm)는 간접 천이형이기 때문에 양자 효율은 약 0.5%로 낮아진다.실험결과/기타
1. 광센서
(1) 관련 이론(理論)
광센서란 빛을 이용하여 대상을 검출하는 소자이다.
포토 다이오드
포토 다이오드는 구조가 간단하지만, 수광 소자의 기본이 되는 소자이고, 여러 가지 제품이 각 회사에서 개발되고 있다 주체는 Si를 재료로 한 포토다이오드 이지만, 그 외에도 GaAsP, Ge, InGa As를 재료로 한 것도 있다 포토 다이오드의 특성(特性)으로는 일반적으로 다음을 들 수 있다
ㄱ. 입사 광량-출력전류의 직선성이 우수하다.
ㄴ. 고속 응답성.
ㄷ. 적은 암전류.
ㄹ. 출력의 분산이 작다.
광전도셀
빛을 비추면 빛에너지를 흡수해서 전하를 운반하는 하전체의 양이 증가하고, 전기전도율이 증가하는 성질(광전도성:내부광전efficacy의하나)을 가지는 소자로 광전도소자라고도 한다. 빛의 alteration(변화) 를 전기의 alteration(변화) 로 변환(광전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즉 이 재료(광전도재료)로 만들어진 저항체에 정전압의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흐르게 해 두고, 이 저항체에 빛을 비추면 저항이 감소되어 전류가 증가하며, 광량을 전기량…(To be continued )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실험 ,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실험기타실험결과 , 공학 기술 기초전자공학 센서 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실험
설명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1.gif)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2.gif)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3.gif)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4.gif)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5.gif)
![[공학,기술]%20기초전자공학%20-%20센서(광센서,%20근접센서,%20로드셀)%20실험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3%B5%ED%95%99,%EA%B8%B0%EC%88%A0%5D%20%EA%B8%B0%EC%B4%88%EC%A0%84%EC%9E%90%EA%B3%B5%ED%95%99%20-%20%EC%84%BC%EC%84%9C(%EA%B4%91%EC%84%BC%EC%84%9C,%20%EA%B7%BC%EC%A0%91%EC%84%BC%EC%84%9C,%20%EB%A1%9C%EB%93%9C%EC%85%80)%20%EC%8B%A4%ED%97%98_hwp_06.gif)
Download :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실험.hwp( 63 )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test(실험)
공학,기술,기초전자공학,센서,광센서,근접센서,로드셀,실험,기타,실험결과
순서
[공학,기술] 기초전자공학 - 센서(광센서, 근접센서, 로드셀) test(실험)
다. 그 원리는 투광부에서 방사된 Plus변조광이 검출물체가 검출영역에 들어감에 따라 수광 소자에의 입사광이 증가(또는 감소)하게 되고 이 증가(또는 감소)한 입사광이 정류신호 레벨이 동작 레벨에도달하면 출력을 내어 주는데 발광소자 즉, LED를 포함하여 간략히 보면 다음과 같다.
ㅂ. 신뢰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