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이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3-23 17:26
본문
Download : 중용이란.hwp
『중용』 제 1장의 글은 『대학』의 경문과 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제 2장 이하는 저자인 자사가 공자의 말과 고전에 나오는 事例(사례)를 인용하면서 제 1자에서 제기한 이 책의 요지를 심화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아
본론
『중용』은 성인(성인)의 도통(도통)을 계승하여 화합세계를 건설하는 도덕학의 이념서이다.중용이란
서론
1)중용이란
『중용』은 유가경전 중의 하나이다.
우(우)임금은 요, 순의 중도(중도)를 탕탕평평(탕탕평평)한 정치발전의 중심체로 정립하여 `상서(상서)`, 홍범(홍범)에서 황극(황극)의 대원리로 규정하였고, `맹자(맹자)`에서는 탕(탕) …(생략(省略))
중용이란중용2 , 중용이란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중용이란
순서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중용이란.hwp( 95 )
중용2
다. `논어(논어)`의 요왈(요왈)편에 보면 요임금이 순(순)에게 왕위를 선양(선양)하면서 말하기를 `진실로 그 중(중)을 잡으라.`고 하였다. 성인의 도통사상은 요(요)로부터 비롯한다.
배타심이나 사사로운 감정은 대립과 갈들과 모순을 해결하기보다는 오히려 증폭시키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마음을 정밀하게 살펴서 사심(사심)을 버리고 공덕심(공덕심)의 밝은 지각(지각)을 한결같이 간직하여야만 이에 인간친화력과 사회통합능력이 갖추어지는 것이다.
2)중용의 내용과 구성
『중용』은 전체가 33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자의 손자인 자사가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 문헌은 중국(China)의 송조에 이르러 주자가 이 문헌에 주석을 붙여서 현재와 같은 『중용』이 되었다.
살피건대 요임금의 중은 큰 덕(준덕)이니 인간의 주체적 포용력이고, 순임금의 중은 도심(도심)이니 인간의 합리적 지도력이다. 이것이 바로 성인의 심법(심법)이다.
『중용』은 『대학』과 더불어 오경 중의 하나인 『예기』속에 들어 있는 편명인데, 이 두 편을 각각 이름하여 대학과 중용이라고 한다. 그러므로 중(중)은 널리 포용하는 인간친화력과 천하도덕의 중심체를 세운 주체적 통합지도력으로써 모든 사회적 대립과 갈등과 모순을 합리적으로 자연스럽게 해소하고 전체의 화합통일을 이룩하여 중화(중화)의 세계를 건설하는 최고의 도덕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