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학]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5 11:37본문
Download : 기업회계와세무회계의관계.hwp
Download : 기업회계와세무회계의관계.hwp( 47 )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는 글입니다.
[본문일부]
설명
예를 들어 기업회계기준에 따르면 유형자산에 대한 감가상각비를 50,000,000원을 계상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기업이 20,000,000원 만을 계상하였다면 법인세 실무에서 기업회계로 지칭되는 부분은 감가상각비 계상액 20,000,000원을 의미하는 것이며, 그 상태 그대로 세법의 규정과 비교되어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게 된다.
법인세 실무에서 기업회계라는 용어는 회사가 1년간의 거래를 기록하고 결산하여 마감한 재무회계 장부에 나타난 수익, 비용 및 당기순이익 등을 의미한다.
기업회계, 세무회계, 발생주의, 순자산증가설, 회계
나.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
나. 세무회계의 의미
※ 기업회계에서 발생주의란
가. 목적과 산출방법
1.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의의
※ 세무회계에서 순자산증가설이란
순서
[회계학]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
2.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차이
[목차]
가. 기업회계의 의미
※권리의무확정주의란




다.
가. 기업회계의 의미
기업회계기준을 준수하지 아니하여 장부에 반영되지 않은 사항은(앞의 예에서 감가상각비 과소계상액 30,000,000원) 공인회계사의 회계감사opinion(의견)에 반영되어 한definition 견 등을 유발하게 될 테지만 법인세 신고에서는 큰 의미를 갖지 않는다.
1.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의의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에 관련되어 설명(explanation)하고 있는 글입니다.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할 점은 기업회계는 기업회계기준에 일치하도록 회계처리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회계처리한 상태 그대로를 의미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