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分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20:59본문
Download :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hwp
<동동>은 13연으로 이루어진 고려 속요 작품으로서 『악학궤범』 권 5 성종조 鄕樂呈才 圖儀 중에 구연방식과 노랫말이 실려 있으며, 『대악후보』 권 7에도 악보가 전하고 있따 그밖에도 『고려사』 권 71 악지 2와 『성호사설』 권 4 俗樂, 『용재총화』 권 1, 『증보문헌비고』 권 106, 『해동죽지』 중편 俗樂遊戲, 『성종실록』 권 132, 12년 8월, 『중종실록』 권 32, 13년 4월 己巳朔 등에 관련기록이 남아있따
4.〈동동>의 작자와 화자
Ⅲ. 결론
1. 원문
<출처>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분석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分析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分析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分析
- 목 차 -
Ⅱ. 본론
Ⅱ. 본론
Download :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hwp( 69 )
설명
Ⅰ. 서론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분석
2. 어구 해석 및 현대어 풀이
7. 달거리 ․ 월령체 논쟁
5. 가명과 생성시기
3.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分析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분석 동동- 어구해석 및 현대어 풀이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분석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원문 2. 어구 해석 및 현대어 풀이 3. 구조 및 내용 전개상의 특징 분석 4.〈동동>의 작자와 화자 5. 가명과 생성시기 6. <동동>의 성격 7. 달거리 ․ 월령체 논쟁 Ⅲ. 결론 <참고문헌>
순서
.
다. 구체적으로는 원문과 어구해석, <동동>의 작자와 화자, 성격에 대한 일반적 견해를 따르되 부분적인 이견들도 제시하며, 마지막으로 <동동>의 달거리체적 성격에 관련되어도 간략히 다루고자 한다. 이것은 자료(data)가 부족한 고려가요 대부분의 난점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본 발제지에서는 이에 대한 점은 여러 학자들의 부가적 논의를 덧붙이도록 할 것이다. 6. <동동>의 성격
1. 원문(악학궤범 소재)
.
동동은 시에 나타나는 애절한 감성과 민요에서 나타나는 월령체 형식의 뿌리가 되는 작품이기에 많은 학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따 물론 <동동>을 비롯한 고려가요가 「악학궤범」이라는 후세의 악서에 한글로 실려 있다 하더라도, 고려 시대의 차자표기 형태가 있어 어의(語義)를 분명하게 알기 힘든 경우가 있다는 제한점도 존재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