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measur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8 12:04본문
Download :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hwp
다.
따라서 분자량을 측정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어는점 내림 현상(freezing point depression)을 이용하는 것이다. 단 이 때는 시료에 들어있는 모든 탄소가 이산화탄소로 연소되고 생긴 이산화탄소는 모두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용액에 수집해서 무게의 변화를 재야만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것은 constituent 원소의 비이므로, 實驗식 밖에 얻을 수 없다. 이렇게 constituent 원소가 주어져 있을 때 그 constituent 원소의 구성비를 알기 위해서는 물질의 연소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수소에서 생긴 물도 물을 완전히 흡수하는 물질에 통과시켜 무게의 증가를 측정한다. 그리고 비타민 C가 수소와 탄소 산소만을 포함한다는 것은 이미 주어진 사실이다. 즉 물질을 연소시켜서 얻어지는 이산화탄소로부터 탄소의 양을 결정하고, 물의 양으로부터 수소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온에서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하는 물질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자량을 구할 수가 없다.





- 용액 A의 어는점 내림(증류수로 보정한 값) ; 약 1.5℃
- 증류수의 어는점 ; 약 -2.5℃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어는점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순서
설명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measurement)
비타민 C의 분자량을 구하기 앞서 우선 비타민 C의 구성 원소나 구성비를 알면 좋을 것이다.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을 P라고 하고 이 용매에 용질이 섞인 용액의 증기압을 P`라고 하면 항상 P 〉P` 이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해서 얻어시 탄소와 수소와 산소의 비가 3 : 4 : 3이라면 실제 물질이 C3H4O3 인지 C6H8O6 인지 그 이상인지 알 수가 없는 것이다.
- 증류수의 어는점 ; 약 -2.5℃ - 용액 A의 어는점 ; 약 -4℃ - 용액 A의 어는점 내림(증류수로 보정한 값) ; 약 1.5℃
- 용액 A의 어는점 ; 약 -4℃
Download :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hwp( 86 )
이전의 實驗에서 한 이산화탄소와 같은 기체의 분자량 측정은 이상 기체 방정식을 이용해서 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