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사업의 problem(문제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05:26본문
Download : 뉴타운 사업의 문제점.hwp
뉴타운사업에대한논의 , 뉴타운 사업의 문제점인문사회레포트 ,
뉴타운 사업의 problem(문제점)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뉴타운사업에대한논의
뉴타운 사업의 problem(문제점)에 대한 글입니다. 주민들은 현 시가에 의한 보상금 책정과 시의 저층·고밀개발계획 철회를 요구하고 있따 특히 복원되는 청계천변에 인접한 주민들은 1984년 주택재개발구역으로 지정되어 신축은 물론 증·개축이 허용 되지 않다가 89년 구역 지정이 해제되면서 이후 대부분의 주택이 신축이나 재개량되었기 때문에 납득할만한 보상없는 개발은 수용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따 또한, ‘왕십리 뉴타운 재개발통합추진위원회’는 최근 자력 재개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시공사 입찰참여공고를 내는 등 독자적인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따 이에 대해 서울시는 개발방식을 포함해 주민opinion을 반영한 다양한 대안을 마련, 주민들과의 조정을 거쳐 개발계획안을 확정하겠다는 입장이나 주민반발을 어떻게 무마하느냐가 큰 부담이 될 것이고, 자칫 잘못하면 뉴타운 개발사업이 난기류에 빠질지도 모르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따
그리고 정치적 drawback(걸점)에서도 지적했지만 재정착률 문제에 마주향하여 , 도시연대 등 시민(市民)단체·전문가들은 뉴타운 사업이 이대로 가다가는 서민들은 다 쫓겨나고 중산층 이상만 사는 새로운 주거지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한다. 또, ‘서울시 2차 뉴타운지구 주택공급계획’과 자치구의 ‘뉴타운 business plan’를 보면, 동작구 노량진의 경우 지금 살고 있는 가구수는 1만1871가구이나…(drop)






Download : 뉴타운 사업의 문제점.hwp( 23 )
뉴타운 사업의 문제점에 대한 글입니다. 원주민 재정착률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나쁜 조건이다. 지난해 4월 현재 이곳에 사는 4275가구 가운데 세입자는 3478가구로 전체의 81.5%를 차지하고 있따 그러나 예정된 임대주택은 1100여 가구에 불과해 개발이 처음 되면 세입자 대부분은 이곳을 떠나야 한다.
1. 문제 제기
2. 뉴타운의 어원
3. 뉴타운 사업의 배경
4. 뉴타운 사업 계획
5. 사업 완료 후의 전망
6. 뉴타운 사업의 drawback(걸점)
7. 맺음말
그리고 왕십리 뉴타운지역에서는 주민대표 간담회가 개발에 반대하는 주민들의 방해로 제대로 열리지 못하는 등 뉴타운 사업에 대해 비협조적이다.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다. 예를 들어, 왕십리뉴타운의 사정을 살펴보면 이런 우려가 기우가 아님을 알 수 있따 이곳 주민들은 대부분 기계·금속, 화공·비금속 등 도심 밖으로 쫓겨나야 하는 업종에 종사하고 있고, 세입자의 비중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