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inal.co.kr 2018년 1학기 고전시가론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 terminal4 | terminal.co.kr report

2018년 1학기 고전시가론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 termina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erminal4

2018년 1학기 고전시가론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5-26 15:48

본문




Download : 20181_핵심요약노트_국문3_고전시가론.pdf




3) 시가와 율문의 관계 및 시와 시가의 관계

제 홀로 뜻을 세울 수 있는 독립적 槪念이 아니라 언제나‘현대’와의 대립적 관계 속에서 의미를 지닐 수 있는 상대적 槪念을 쓰이고 있음
2) ‘고전’에 포함되어 있는 시간槪念과 가치槪念
제 1장 총론 제 2장 상대시가 제 3장 향가 제 4장 속요 제 5장 경기체가 제 6장 악장 제 7장 시조 제 8장 가사 제 9장 잡가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② 시와 시가의 관계: 모든 시가는 시라고 할 수 있지만 모든 시를 시가라 할 수 없음
① 고전시가가 현대시의 대립적 용어로 쓰이는 만큼‘훌륭한’작품들만을 지칭하는 말이 아님이 분명하며 상식적으로 생각해도 옛날의 시가문학 작품들이 모두‘훌륭한’작품일 수는 없음

제 8장 가사
제 2장 상대시가
고전시가론,방통대고전시가론,방송대고전시가론,고전시가론시험




2. 고전시가의 영역과 장르 체계
② 우리가 다루는 고전시가의 고전에는 한국적 특수성에 의해 의미가 변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제 3장 향가
제 6장 악장
23917_001.jpg 23917_002.jpg 23917_003.jpg 23917_004.jpg 23917_005.jpg




방송통신 > 핵심요약노트

① 시와 율문, 시가와 율문의 관계: 음성언어든 문자언어이든, 혹은 일상적 언어이든 문학적 언어이든 언어치고 리듬이 없는 언어는 없지만, 리듬이 관여하는 정도는 텍스트에 따라 다름
시는 언어가 지닌 여섯 가지 기능 가운데 메시지 - 말 혹은 언어 자체에 초점을 두는 시적 기능이 전경화 된 언어가 중심
① 우리말 중심의 고전시가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한문 중심의 한시도 있음


제1장 총론
제 5장 경기체가

제 1장 총론



(1) 고전시가에서 연상되는 용어

* 율문: 리듬이 텍스트에서 주동적 기능을 수행
- ‘고전’이 훌륭한 작품인가, 아니면 ‘훌륭한’ 작품이 ‘고전시가’인가에 대한 견해
설명

순서
2018년 1학기 고전시가론 교재전범위 core요약노트

2) 로만 야콥슨
* 산문: 리듬이 주변적 기능만을 수행
* 각 장별 출제예상문제 + 해설포함 *

제 4장 속요
제 9장 잡가

Download : 20181_핵심요약노트_국문3_고전시가론.pdf( 26 )


③ 고전시가는 고전시가대로, 한시대로 각각의 고유한 전통 속에서 형성해 낸 독립된 장르체계를 지니고 있음



1) 고전
제 7장 시조
(1) 고전시가의 영역이 국문시가에 한정


1. 고전시가의 槪念


“고전시라란 이런 것이다”라며 몇 마디로 definition 를 내린다고 해서 그 실체가 더 분명해지는 것도 아니며, 그렇게 몇 마디로 definition 할 수 있을 만큼 槪念적 명료성을 지니고 있는 것도 아님

② 한국의 옛 시문학에는 고전시가와 한시가 나란히 병존하는 이원체계를 형성하고 있음
1) 시문학 유산
- 중략 -
다.
전체 17,49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ermina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