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inal.co.kr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 terminal3 | terminal.co.kr report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 termin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erminal3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21 03:35

본문




Download :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hwp








@意精於詞 故云腦-글의 뜻이 노래 말 가사보다 정심하기 때문에 腦(뇌)라 이른다. 이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불교사상의 전체상을 환상(還相)과 왕상(往相)으로 나누어 이에 따라 향가를 체계화하기도 한다. 이처럼 동일 작품을 놓고 한편에서는 불교가요로, 한편에서는 주술가요로 규정하고 있다. 이를테면, <안민가>·<우적가>·<보현십원가>는 수심요결(修心要訣)로 보고, <도천수관음가>·<원왕생가>는 기원·계청(啓請)으로, <모죽지랑가>·<찬기파랑가>·<제망매가>는 찬가로, <도솔가>·<혜성가>·<원가>는 주사로 보는 견해가 그것이다. 작품의 공간적 배경이 되는 신라사회는 이른바 무불습합(巫佛習合)의 culture적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향가 또한 주술적인 것과 불교적인 것의 융합에 바탕을 둔 가요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그런데 향가의 성격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하여 이보다 세분하는 경우도 있다.
.


순서
2. 향가의 성격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2357_01_.jpg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2357_02_.jpg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2357_03_.jpg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2357_04_.jpg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2357_05_.jpg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설명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다. 그러나 실제로 향가 가운데는 찬가적 성격을 가지지 않는 가요도 상당히 보이므로 찬가문학인 향찬으로 일괄하는 데는 문제가 있다. 그 밖에도 <제망매가>는 아미타사상의 색채가 짙으며, <도솔가>와 <혜성가>는 밀교사상과 연결되고, <처용가>와 <우적가>는 선교의 공사상(空思想)과 관련된다고 한다. 그리고 기원 혹은 기도의 가요와 찬가와는 구별할 필요가 있다. 이 둘은 종교적인 예배행위에 있어서 불가분의 관련을 가지지만, 찬가는 어떤 인물·국가·풍경 등에의 찬양을 비롯하여 종교적인 귀의와 그러한 집단적 경험과 감定義(정의) 표현로서 신적이거나 영웅적인 혹은 성스러운 대상에의 찬양·환호·감
.
@夫詞腦者 世人戱樂之具-대게 詞腦(사뇌)라는 것은 세상 사람들이 희락하는 도구이다.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其意甚高-그 노래 내용의 뜻이 매우 높다. 한편, 주술적 차원에서 향가를 보는 관점에 따르면 <도솔가>·<서동요>·<혜성가>·<원가>·<처용가> 등이 주사로서의 은유 원리를 갖춘 주가(呪歌)라 한다. 왕상은 ‘보살이 자기의 선근공덕(善根功德)을 일체 중생에게 되돌려 베풂으로써 공생정토(共生淨土)하게 한다는 사상’으로서 <원왕생가>·<제망매가>·<찬기파랑가>·<우적가>·<보현십원가> 등이 그것의 표출이라 한다. 즉, <도솔가>는 그 기능과 효험에 있어서뿐 아니라 서술양식에 있어서도 분명히 주가이며, <서동요>는 인간의 주관적 의지가 투영된 사랑의 주가이고, <혜성가>는 변괴가 없어져야 할 현실을 언어에 의하여 선행적으로 묘사한 은유의 주가이며, <원가>는 소극적인 명령법을 간직한 주술적 기능이 잣나무를 시들게 한 주력(呪力)을 보인 가요이며, <처용가>는 감염법칙의 주술원리와 일어나기를 바라는 바의 반대 상황을 진술한 역의 유사법칙이 내재한 주가라는 것이다. .
@詞淸句麗-문장이 맑고 글귀가 아름답다. <도솔가>·<처용가>·<혜성가>의 경우 특히 그러하다.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Download :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hwp( 14 )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향가의 성격과 향가 25수 작품해석

향가의 성격은 주술적인면과 불교적인 면으로 나뉜다. 이들 가요는 주술적 요소와 불교적 요소를 동시에 갖춘 가요로 이해하는 것이 옳을 것이다.




@羅人尙鄕歌者尙矣 蓋詩訟之類歟 故往往能感動天地鬼神者非一-신라 사람들은 일찍부터 향가를 숭상했다. 즉, 환상은 ‘보살이 이승에 환생하여 일체중생을 제도(濟度)함으로써 이들에게 이익을 준다는 현실적 의미가 있는 사상’으로서 <서동요>·<헌화가>·<도솔가>·<산화가>·<풍요>등이 속한다고 한다. 먼저 불교사상 측면에서 향가와의 상관성을 보면, 월명사의 <도솔가>는 내세에 다시 현신(現身)하여 중생을 구제할 것으로 믿어지고 있는 미륵에 대한 신앙, 즉 미륵하생신앙(彌勒下生信仰)을 바탕으로 한 작품이고, <원왕생가>는 극락왕생을 point으로 하는 정토사상(淨土思想)과 관련되며, <도천수관음가>는 현세적 소망의 기구(祈求)가 바쳐지는 관음불에 대한 신앙을 바탕으로 하고 있고, <보현십원가>는 화엄사상의 가요적 설경(歌謠的說經)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가운데 찬가의 성격을 중시하여 향가, 특히 사뇌가를 China의 한찬(漢讚)이나 일본의 화찬(和讚)에 대응하는 향찬(鄕讚)으로 일괄하여 성격을 규정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천지귀신을 움직이게도했다. 향가의 밑바탕을 이루는 사상적 배경도 이 두 차원에서 해명되고 있다.
전체 17,70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ermina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