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rminal.co.kr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arrangement) > terminal2 | terminal.co.kr report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arrangement) > terminal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terminal2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arrangement)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0 13:54

본문




Download :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hwp






□ 대법원 1998. 12. 8. 선고 98도3416 판결 / 강도살인·현주건조물방화치사
● 피고인들은 주거에 침입하여 재물을 강취한 후 범행 발각이 두려워 주거에 불을 질러 피해자들을 사망케 하였다.

□ 대법원 1997. 1. 21. 선고 96도2715 판결 / 특수강도
● 사실관계 확인할 수 없슴.
● 감금행위가 강간죄나 강도죄의 수단이 된 경우에도 감금죄는 강간죄나 강도죄에 흡수되지 아니하고 별죄를 구성한다. 강도죄에관한판례정리 ,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법학행정레포트 ,

특수 강도죄, 준 강도죄 등 강도죄에 대한 판례를 정리(arrangement)한 리포트입니다. 그 후 甲의 신고로 출동한 대전경찰서 소속 경장 乙과 丙이 피고인을 붙잡으려고 하자 체포를 면탈할 목적으로 乙에게는 폭행을 丙에게는 2주간의 치료를 요하는 상해를 입혔다.
● 피고인들이 피해자들의 재물을 강취한 후 그들을 살해할 목적으로 현주건조물에 방화하여 사망에 이르게 한 경우, 피고인들의 행위는 강도살인죄와 현주건조물방화치사죄에 모두 해당하고 그 두 죄는 상상적 경합범관계에 있다아

□ 대법원 2001. 8. 21. 선고 2001도3447 판결 / 강도상해
● 피고인은 승합차의 조수석 문을 열고 들어가 공구함을 뒤지던 중 도난경보 장치가 울려 甲에게 발각되어 절취가 미수에 그쳤다.
,법학행정,레포트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1.gif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2.gif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3.gif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4.gif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5.gif 강도죄에%20관한%20판례%20정리_hwp_06.gif


순서

Download :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hwp( 22 )



설명


강도죄에관한판례정리(arrangement)

레포트/법학행정
다.
● 강도가 시간적으로 접착된 상황에서 가족을 이루는 수인에게 폭행·협박을 가하여 집안에 있는 재물을 탈취한 경우 그 재물은 가족의 공동점유 아래 있는 것으로서, 이를 탈취하는 행위는 그 소유자가 누구인지에 불구하고 단일한 강도죄의 죄책을 진다. 1. 강도죄의 일반 개념(槪念)
(1) 폭행·협박의 정도
1) 강도죄의 폭행·협박에 해당한다고 한 판결
2) 강도죄의 폭행·협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판결
(2) 재산상의 이익
(3) 불법영득의사
1) 불법영득의사를 인정한 판결
2) 불법영득의사를 부정한 판결
(4) 위법성
(5) 죄수
2. 특수강도죄(형법 제334조 1항·2항)
(1) 실행의 착수시기(제334조 1항)
1) 주거침입시에 실행의 착수를 인정하는 판결
2) 폭행·협박시에 실행의 착수를 인정하는 판결
(2) 실행의 착수시기(제334조 2항)
1) 주거침입시에 실행의 착수를 인정하는 판결
2) 폭행·협박시에 실행의 착수를 인정하는 판결
(3) 제334조 2항의 `합동하여`의 의미
3. 준강도죄(형법 제335조)
(1) 행위주체
(2) 폭행·협박의 정도
1) 준강도죄의 폭행·협박에 해당한다고 한 판결
2) 준강도죄의 폭행·협박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한 판결
(3) 행위상황의 범위 - 절도의 기회- (장소적 근접성·시간적 근접성)
1) 장소적 근접성·시간적 근접성을 인정한 판결
2) 장소적 근접성·시간적 근접성을 부정한 판결
(4) `재물의 탈환을 항거할 목적`의 의미
(5) 미수·기수의 결정
4. 강도상해·강도치상(형법 제337조)
(1) 행위주체
1) 준강도
2) 강도미수
(2) 상해의 의미
1) 상해를 인정한 판결
2) 상해를 부정한 판결
(3) 행위상황의 범위 - 강도의 기회 - (장소적 근접성·시간적 근접성)
(4) 인과관계
(5) 공범
1) 공범에게 중한결과 발생에 대한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필요하다는 판결
가.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있었다는 판결
나.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없었다는 판결
2) 중한결과 발생에 대한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필요없다는 판결
5. 강도살인·강도치사(형법 제338조)
(1) 행위주체
(2) 공범
1) 중한결과 발생에 대한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필요하다는 판결
2) 중한결과 발생에 대한 고의 또는 예견가능성이 필요없다는 판결
6. 강도강간(형법 제339조)
(1) 행위주체
6. 강도강간(형법 제339조)
(1) 행위주체
(2) 미수
(3) 공범
7. 해상강도(형법 제340조)
(1) 해상의 의미

□ 대법원 1996. 7. 30. 선고 96도1285 판결 / 특수강도
● 피고인들은 피해자 甲의 집에 침입하여 甲과 그의 처인 乙로부터 금품을 강취했다.
● 절도범이 체포를 면탈할 목적으로 체포하려는 여러 명의 피해자에게 같은 기회에 폭행을 가하여 그 중 1인에게만 상해를 가하였다면 이러한 행위는 포괄하여 하나의 강도상해죄만 성립한다.

□ 대법원 2003. 1. 10. 선고 2002도4380 판결 / 강도상해,감금
● 피고인은 공소외 甲,乙,丙과 공모하여 주점 종업原因 피해자를 승용차에 …(skip)


강도죄에 관한 판례 정리(arrangement)







특수 강도죄, 준 강도죄 등 강도죄에 대한 판례를 정리한 리포트입니다.
전체 17,701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terminal.co.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