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14:01본문
Download :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hwp
Download :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hwp( 64 )
다. 결국 이병기, 황희영, 이명구는 여음이 모두 사설과 관련되 어 있으며 별 의미가 없거나 음악적 구음(口音)을 나타내는 소리 등을 여음으로 해석하였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등이 있으며 이 논문들에서 실제 악보에 나타난 여음의 기록은 인정하면서도 굳이 음악적 여음과 문학적 여음을 구분하여 종래의 국문학에서의 여음이론에 맞추어 이론을 전개하였다.
설명
.
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순서
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
.
여음의 양상과 특성 및 기능





문학에서의 여음은 양태순의 논문을 제외한 대부분의 논문에서 사설이 있으되 의미없는 사설이거나 구음을 의미하고 있으며 『대악후보』․『양금신보』 등의 악보에 드러난 여음의 기록은 악곡상의 문제일 뿐이며 문학에서의 여음은 음악에서의 여음과 별개로 사설과 관련된 종래의 이론을 되풀이하고 있다아 문학의 사설도 그것이 악곡에 얹어서 노래 불렸다면 사설(가사)과 더불어 악곡도 같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황희영은 “여음은 원시인의 규환(叫喚)으로부터 처음 하여 호성(呼聲)만으로 부르던 것, 집단가무에 있어서의 합창, 민요나 속요에 있어서의 말먹이는 소리와 받는 소리, 서정가요에 있어서의 후렴 등 감정을 표현해 나가는 것이라 하였으며, 이명구도 황희영의 여음이론에 동조하면서 여음 중 별 특정한 뜻은 없으면서 말로 이루어진 것은 사설이라 부르고 음악적 성격으로 된 것은 의음(擬音)이라고 구분하였을 뿐이다.
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
여음의 양상과 속성 및 기능
여음의 양상과 특성(特性) 및 기능
와 정종진의 「고려속요 여음 연구」 음악에서 여음이란 여주부분을 말하는 것인데, 이것이 고려속요의 경우에는 가사화되어 본사부와 함께 한편의 시가작품을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여음에 관한 국문학계 학위논문으로는 임동규의 「고려가요의 여음 연구」 이 논문에서는 『대악후보』권 5의 <봉황음><진작>에 대여음이라는 기록이 보인다고 하면서 음악에서의 여음은 육성여음과 타고여음으로 양분되어 특히 타고여음이 중요시되었고, 문학에서의 여음은 시가의 중심이 되는 유의어의 효능를 높여주기 위하여 쓰이는 허사나 前中․後斂을 여음이라고 하였다 .결국 여음의 槪念은 기존 국문학계으 l이론에 따랐다. 이에 반하여 양태순은 「정과정(진작)의 연구」에서 악곡과 노랫말을 구분 짓은 기능을 여음과 종지형이 맡고 있다고 하면서 여음이 가사가 없는 부분인 기악반주부분임을 인정하였다. 즉 『대악후보』 등의 악보에 나타난 여음기록은 인정하면서도 종래의 여음 槪念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기존 학설을 차용하였다. 여음의 의미는 문학과 음악에서 각기 달리 쓰여왔다.
음악에서는 실제 여음이 기록된 악보인 『대악후보』『양금신보』 등에 여음․반여음․대여음이 가사가 없는 부분에 기록되어 있다아 가곡에는 대여음․중여음이 있는데 장사훈은 기악으로만 연주되는 전주곡 또는 후주곡이 대여음이라고 하면서 이는 일명 여음이라 하였으며 이보형은 노래에서 뜻이 없는 말로 길게 부르는 사설 즉 문학에서 말하는 여음을 입타령이라하면서 우리나라 고가요에서는 <정읍사>의 후렴에 ‘아으 다롱디리’, <청산별곡>에 ‘얄리 얄리 얄라 얄라셩 얄라’를 입타령이라고 말하고 있다아 음악에서는 여음은 가사가 없는 부분, 즉 가사가 끝나고 기악으로만 연주되는 부분을 말하며 간주․후주의 역할을 한다고 하겠다. 문학에서 이병기는 여음에 대하여 소리로만 된 것은 <청산별곡>의 ‘얄리얄리 얄라 얄라셩 얄라’, 말과 소리로 섞어 된 것은 <한림별곡>의 ‘위 試場ㅅ景긔엇더니잇고’, 말로만 된 것은 <이상곡>의 ‘아소 님하’등을 예로 들고, 여음은 소리나 말 즉 가사(사설)와 관련 된 것임을 언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