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한중일 분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대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27 07:08본문
Download : 한중일 분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hwp
Download : 한중일 분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hwp( 75 )
순서
다. 한일무역은 한국의 만성적인 대일적자구조가 계속되고 있는 바, 이는 <표1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한국이 기계류, 전자전기 등을 중심으로 하는 자본재, 부품, 원재료 등을 日本 으로부터의 輸入에 크게 의존하는 산업구조가 정착된 데 그 Cause 이 있다아
<표12> 한국의 업종별 대일 무역수지 現況(1999年)
(단위: 백만 달러)
수출 수입 무역수지 금액 증가율 금액 증가율 합계15,862(100.0) 29.624,142(100.0) 43.4 - 8,280중화학제품
철강 및 금속
전자전기
기계류
화학공업, 유류11,xxx(69.5)
1,544
5,394
599
2,836 34.8
0.5
65.3
12.6
48.922,924(95.0)
2,971
9,195
5,911
4,840 43.6
31.2
51.0
50.2
31.6 -11,906
- 1,427
- 3,801
- 5,312
- 2,004경공업제품
섬유류 2,646(16.7)
1,513 20.1
14.5 708(2.9)
448 37.7
26.3 1,938
1,0651차산품
농산물
수산물 2,198(13.9)
777
1,155 18.0
19.0
29.0 510(2.1)
146
100 42.5
56.6
179.5 1,688
631
1,055
주: ( )는 비중
data(자료): 산업자원부 MTI분류(세계시장을 여는 키워드 日本 시장진출의 길, 산업자원부,2000.5,p.5에서 재인용)
2. 제3국 시장에 대한 수출
한편, 제3국 …(省略)
설명
한중일 분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대책






한중일분업구조의변화에따른한국의대응대책
한중일 무역의 변화분석을 통해 한중일 경쟁관계의 변화 및 분업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중일 분업구조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과제를 제시한 리포트입니다.
,공학기술,레포트
한일무역의 내용을 한국의 대일 수출, 수입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전자는 중화학제품이 약 70%,경공업품과 1차산품이 각각 16.7%, 13.9%를 차지한데 비해, 후자는 중화학제품이 95%로 그 대부분을 차지한다. 한중일분업구조의변화에따른한국의대응방안 , 한중일 분업구조의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공학기술레포트 ,
레포트/공학기술
한중일 무역의 변화분석을 통해 한중일 경쟁관계의 변화 및 분업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고 한중일 분업구조의 전망과 한국의 대응과제(problem)를 제시한 리포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