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문화] 노동제도와 직장생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04:03
본문
Download : 노동제도와 직장생활-11.hwp
공민은 로동에 자각적으로 성실히 참가하며 로동규율과 로동시간을 엄격히 지켜야 한다"고 하여 노동을 전 주민의 권리이자 의무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의 모든 근로자는 모두 당국이 배정해 주는 일자리에서 근로활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 만큼, 일종의 완전고용 사회라고 말할 수 있다 또한 북한에서는 노동이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집단주의 원칙에 의해 공동의 목적과 공동의 이익을 위한 집단노동으로 되어 있…(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제 1절 노동제도 , , 1. 노동정책 , 2. 노동자 분류 , 3. 직장배치 , , 제 2절 직장생활 , , 1. 직업선택 , 2. 북한주민의 직업관 , 3. 직장의 일과 , 4. 임금 , 5. 휴가 및 휴일, , FileSize : 46K , [북한 문화] 노동제도와 직장생활인문사회레포트 , 노둥제도 북한직장생활 북한직업관
설명
[북한 문화] 노동제도와 직장생활
순서






제 1절 노동제도 , , 1. 노동정책 , 2. 노동자 분류 , 3. 직장배치 , , 제 2절 직장생활 , , 1. 직업선택 , 2. 북한주민의 직업관 , 3. 직장의 일과 , 4. 임금 , 5. 휴가 및 휴일, , 크기 : 46K
다.
Download : 노동제도와 직장생활-11.hwp( 36 )
노둥제도,북한직장생활,북한직업관,인문사회,레포트
제 1절 노동제도
1. 노동정책
2. 노동자 분류
3. 직장배치
제 2절 직장생활
1. 직업선택
2. 북한주민의 직업관
3. 직장의 일과
4. 임금
5. 휴가 및 휴일
1. 노동정책 북한에서는 노동을 "모든 물질적 및 文化적 재부의 원천이며, 자연과 사회, 인간을 개조하는 힘있는 수단이다. 로동은 공민의 신성한 의무이며 영예이다. 사회주의, 공산주의는 수백만 근로대중의 창조적 로동에 의하여 건설된다"고 定義(정이)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북한은 노동에 의하여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건설된다고 할만큼 노동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북한에서는 "공민은 로동에 대한 권리를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