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과학]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1. test(실험) 목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5 15:05
본문
Download :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hwp
아래 그림은 위빙의 종류를 나타낸 것이고 위빙은 다층용접이나 넛살 쌓기 ...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1. 실험 목적 및 개요 - 교류 ...
다.
Download :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hwp( 71 )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1. test(실험) 목적 및 개요 - 교류 ...
설명
[자연과학]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1. test(실험) 목
순서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자연과학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1. 실험 목
제 13 장 피복 금속 아아크 용접 . 실험 목적 및 개요 - 교류 아아크 용접기를 이용하여 시편(Plate) 상에서 용접, 이음에 필요한 비드를 수동 용접과 로봇 용접(자동 용접)으로 만들어 본다. 중요한 점은 용접중 아아크의 충격 등에 의해 용융지에서 밀려나오게 되면 용융지 모재에 약간 오목한 크레이터가 생기는데 봉을 바꿀 때 봉을 옆으로 빨리 움직여 아아 크를 중단시킴이 중요하다. 용접선위로 직선으로 움직이면 직선비드가 얻어진다. . 개요 - 피복 아아크 용접은 피복금속 아아크 용접(Shielded Metal Arc Welding)이라고도 하 고, 피복에는 용접봉과 피용접물 사이에 발생한 전기 아아크의 열을 이용해 용접하는 방법이다. 폭넓은 비드로 만들기 위해 위 빙을 한다. 이 방법은 설비비가 싸고 간편하게 용접할 수 이ㅛ어 철강, 동합금, 고니켈합 금 등의 재료에 많이 이용된다 이 용접은 홀더(Electrode holder)로 지지한 피복 용접봉(coated electrode)와 피용접물 (모재 bare metal) 사이에 교류나 직류 전압을 걸어서 아아크를 발생시킨다. 아아크 열은 약 600℃의 강한 열을 내므로 용접봉이 녹아 금속증기 또는 용융방울이 되어 용융 지로 용착되고 그곳에서 모재의 일부와 융합하여 용융금속을 만들어 낸다. - 교류 아아크 용접기 1. 가동 철심형 교류 아아크 용접기 가장 많이 사용 2. 가동 코일형 교류 아아크 용접기 아아크의 안정성 우수 3. 가포회 리액터형 아아크 용접기 최근 개발, 원격 제어 면에서 우수 . 실험 방법 - 아아크 발생은 용접봉 선단을 모재에 순간적으로 가볍게 접촉했다 떼는 방법을 사용한 다. 즉, 용접 종료시 크레이터를 완전히 쌓아 올리고 아아크를 끊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