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학적 하폐수처리 - 하수처리장 설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3-12 16:52
본문
Download : 생물학적 하폐수처리 - 하수처리장 설.docx
설명
a. 원칙적으로 침사지 앞에 설치하고, 유효간격은 15~25mm(20mm)의 격자형으로 한다. 따라서 각각 스크린의 특징에 따라, 오수용 스크린이 적절하다고 판단되었다.순서
c. 스크린 찌꺼기의 발생량과 처분
최근 수질환경 기준에 적합하고, 엄격한 수질이 요구되는 방류수역인 경우에는 2차처리 후 고도처리를 반드시 행해야 함. 이 고도처리는 2차처리 후에 잔존하는 질소, 인, 부유물, 유기물 및 무기염류 등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대비하여 큰 골재를 제거 할 수 있는 스크린으로 설계하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긁어 올린 스크린 찌꺼기를 분쇄하여 다시 침사지를 통과시키거나 슬러지와 혼합해서 소화처리하는 방법이 좋다. 때때로 여름이면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일어나기도 하고, 홍수가 발생하기도 한다.
3. 설계 및 이유

기존 도시의 예로 합류식 하수도에서 6~13mm의 경우는 하수량의 6~13% 정도이며, 함수율 70~80%로 다량 함유.
2. Concept
1. 목적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지형으로 쉽게 자갈 등 큰 골재들을 쉽게 볼 수 있다.
Download : 생물학적 하폐수처리 - 하수처리장 설.docx( 17 )
1) 스크리닝 (screening)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스크린의 통과 유속은 계획유랑에 대하여 0.45m/sec를 표준으로, 스크린 전후의 수위차 1.0m이상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것으로 사용한다. 2. Concept 1) 스크리닝 (screening) 1. 목적
생물학적 하폐수처리,하수처리장 설계
최근 수질환경 기준에 적합하고, 엄격한 수질이 요구되는 방류수역인 경우에는 2차처리 후 고도처리를 반드시 행해야 함. 이 고도처리는 2차처리 후에 잔존하는 질소, 인, 부유물, 유기물 및 무기염류 등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슬러지와 함께 비료로 쓰기도 하고 매립처분, 해양투기 등도 한다.
b. 긁어 올리는 장치를 설치하며, 경사각은 수평에 대해 70 전후로 한다.
다.
스크린 찌꺼기의 처분방법은 탈수시킨 다음 소각하는 것이 좋으나 악취를 발생시키므로 장소 선정시 유희해야 한다.
생물학적 하폐수처리 - 하수처리장 설계
청천시의 오수는 유랑은 큰 변동이 없고, 수질은 오탁되어 있어서 부유협잡물과 오물을 침전시킬 수 없으므로, 오수용 스크린 앞부분에 설치하여 이들이 침전부에 들어오기 전에 제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