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명학 - 하곡 정제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9 18:06
본문
Download : 양명학 - 하곡 정제두.hwp
한국철학에세이, 동녘 , 김교빈 , p200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순서
Download : 양명학 - 하곡 정제두.hwp( 79 )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





다. 둘째, 국내의 무질서와 갈등 그리고 내란, 밖으로 이민족의 침략으로부터 질서와 평화를 지키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 결과 주자학은 막강한 국가 권력의 지원 아래 관학으로 자리 잡았지만 한편으로는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이유로 학문적 생명력을 잃고 말았다. 이는 농민의 조세 부담은 더욱 가중되었고, 집 잃은 백성들이 점점 늘어나면서 곳곳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학자들 대부분은 유학의 모든 체계가 주희에 의해 다 이루어졌기 때문에 자신들은 그 理論(이론)을 따르면 된다고 생각했다. 주자학은 이 같은 사회적 위기를 해결하는 데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했고, 따라서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스러운 일이였다. 하지만 왕과 권력자들은 백성들이 가난하게 살든 신경쓰지 않고 더 많은 토지와 돈을 소유하는데에 관심을 가졌다. 이는 주자학을 실천 중심적인 모습이나 교조적인 모습으로 만들어 버렸다. 당시 농민군의 구호는 “다시 혼돈의 하늘을 열자”는 것이었다. 한국철학에세이, 동녘 , 김교빈 , p201
.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설명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은 16세기 초 왕수인이 주자학의 problem(문제점)을 해결하면서 내놓은 사상이다. 그는 양명학의 최종적 結論은 치량지(致良知)로 귀결되는데, 그것은 천지만물을 일체(一切)이게 하는 인간 본연의 보편적 마음인 양지에 대한 지각과 양지의 창조적 작용에 따라 이러한 통일을 대상과 상황에 합당하게 差別(차별) 적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첫째, 공자와 맹자가 추구하였던 유학의 목적과 그 방법을 다시 정립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더구나 소수 민족과 농민군을 진압하는 데 여러 次例 참여했던 왕수인은 주자학에서 말하는 하늘이 정한 이치가 세상을 살아가는 인간 주체와 분리되는 한 결코 백성을 제대로 다스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
양명학 - 하곡 정제두
그래서 왕수인은 두 가지 처리해야할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양명학이 발생한 배경은 크게 사상적 측면과 사회 경제적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사상적 흐름을 보면 원나라가 중국(中國)을 차지하고 난 뒤 1314년에 과거 제도를 부활시키면서, 『논어』,『맹자』,『중용』,『대학』에 대한 주희의 해석(주자학)을 과거시험의 모범 답안으로 채택하였다. ‘혼돈의 하늘’이란 주자학에서 내세우는 하늘이 정한 이치를 부정하는 것이자 봉건 통치 질서에 도전하는 것이었다. 사대부의 시대, 동아시아, 고지마 쓰요시, p55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양명학 - 하곡 정제두
사회·경제적 배경을 보자면, 명나라는 15세기 중반부터 연이은 반란을 겪으면서 점차 쇠퇴기로 접어들었다. 하지만 명나라로 들어오면서 사물의 이치를 중심으로 하는 이학(理學)에서 사람이나 사물의 마음을 작용을 강조하는 심학(心學)으로 흐름이 바뀌기 처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