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한국과 日本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9-09 18:40
본문
Download : [A+] 한국과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비교.hwp
그러므로 이러한 접촉을 통해 얻는 정보는 불필요(redundant)할 가능성이 크다.”(Granovetter, 1973).
강한 연계를 통한 정보전달은 파벌내부로 제한되지만, 약한 연계를 통한 정보전달은 약한 연계가 정보전달의 가교(bridge) 역할을 함으로써 광범위하게 전달된다 강한 연계는 서로 유사한 사람들을 연결하는 경향이 있다 이와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불필요한 중복전…(To be continued )
. 日本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Download : [A+] 한국과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비교.hwp( 42 )
. 한국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 맺음말
레포트/경영경제
. 머리말. 기업간 연계와 혁신.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한국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맺음말한국과일본자동차산업의혁신네트워크비교연구 , [A+] 한국과 일본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비교경영경제레포트 ,
. 머리말
설명
. 기업간 연계와 혁신
다.[A+] 한국과 日本 자동차산업의 혁신네트워크 비교
한국과日本 자동차산업의혁신네트워크비교연구
1. 강한 연계와 약한 연계
경제사회학자인 Granovetter(1973)는 ‘연계의 힘’(tie strength)을 상호작용의 빈도(frequency of interaction), 관계의 강도(intensity)와 친밀도(intimacy)로 定義(정이)하고, 이를 토대로 강한 연계(strong tie)와 약한 연계(weak tie)로 구분하고 있다 그는 이러한 구분을 통해 연계의 형태가 정보전달에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설명(說明)하고 있다 그라노베터 이후 기업이 네트워크에 어떻게 연계되어야 하는가에 관해 서로 상반되는 다양한 연구들이 제시되고 있다
1) 약한 연계의 이득
Granovetter(1973, 1985)는 약한 연계가 새로운 정보를 전달하는데 유리하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약한 연계에서의 접촉은 새로운 네트워크, 새로운 정보로 이어지는 교량 역할을 잘 할 가능성이 크다. 그는 약한 연계가 완전히 새로운 정보를 습득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라노베터는 주변 가까운 사람들로부터 취업정보를 얻기보다는 약한 연계(weak tie)로 맺어진 멀리 떨어진 사람들로부터 취업정보를 얻는 이유를 설명(說明)하고 있다 가까운 주변사람들로부터는 새로운 정보를 얻기 힘든 반면 약한 연계를 맺고 있는 사람들로부터 얻는 정보는 새로운 정보일 가능성이 많은데, 그는 이를 ‘약한 연계의 힘’(strength of weak tie)이라 부른다(Granovetter, 1973).
“강한 연계는 비슷한 부류의 사람들이나 기업들을 연계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