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04 01:39본문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hwp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설명
즉, 별곡 혹은 별곡체 가요는 고려 예종 11년(1116)에 송(宋)나라로부터 대성악(大晟樂)이 들어옴에 따라 고려의 전통가악(歌樂)에 일대변혁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생성되었다는 것이다.
원래 ‘속요’란 민속가요를 줄인 말이다. 그 구체적인 양상은 외래음악인 대성악이 전래되면서 전통가악과 몇 단계의 융합되는 과정을 거치는 가운데 별곡 혹은 별곡체 가요가 생성되었을 것으로 파악한다. 또 민속가요란 말 그 대로 민간의 속된 가요란 의미를 갖는다.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Ⅱ. 본론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고려속요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순서
모든 역싸적 장르는 연원기를 거쳐 어떤 계기에 의해 하나의 장르로서의 발생기를 갖게 되고, 그것의 추진 주체로서의 담당층이 적극적으로 향유하게 되면서 발전기와 전성기를 맞게 되며, 담당층의 쇠퇴와 함께 소멸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경로로 생성된 속요는 한 단계 더 발전하여 창작가요로서 토착
Download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hwp( 47 )
시가작품지도론 -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
속요가 언제 어떠한 과정을 거쳐 형성되었는지 명확하게 알 수는 없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속요라 했을 때는 고려속요를 가리키는 의미로 통용되고 있다아 즉 조선 후기에 전문적인 소리꾼들에 의하여 주로 창출된 ‘잡가’와는 별개의 장르로 구분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속요라 하면 본래 상층culture권의 정통가요에 비해서 정제되지 못한 노래, 곧 잡스럽거나 속된 하층culture권의 노래를 가리키며, 그 때문에 ‘속가’ 혹은 ‘잡가’라 부르기도 했다. 향가가 쇠퇴하면서 그 명맥을 유지하던 향가계의 노래까지 자취를 감추면서 고려의 시가는 문자의 제약으로 한문학이 문학의 주류를 이루어왔으며, 우리 문학은 민속 문학적 위치에서 겨우 이어져 오면서 평민문학과 귀족문학이라는, 즉 속요와 경기체가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뉘게 된다.
속요와 경기체가도 마찬가지로 이러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다만 현존 작품의 구조와 음악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형성과정을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아 이는 고려가요 가운데 상당수의 작품이 별곡(別曲) 혹은 별사(別詞)라는 명칭이 붙어 있는 데 주목하고, 이 별곡체의 형성과definition 하나로 속요의 생성을 밝히는 방법이다.
이러한 별곡이나 별사 계통의 속요는 그 생성의 상한선이 12세기 초 예종대의 대성악 수입 이후가 된다. 이로써 속요와 경기체가는 고려시대라는 공시적 배경 속에서의 공통점과 함께 속요는 속요대로, 또한 경기체가는 경기체가대로 고유한 특징을 보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형식적인 면에서는 비슷한 구조를 보이면서도 다른 내용을 띠는 양상을 살펴 속요와 경기체가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마주향하여 알아보고, 이러한 결과의 요인에 대해 analysis해보고자 한다. 속요는 한때 ‘고속가(古俗歌)’나 ‘장가(長歌)’로 불리기도 하였으나 별로 쓰이지 않고 있다아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