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工學實驗보고서] 비틀림 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07 04:25
본문
Download :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hwp
재료시험의 목적
기계공학실험보고서,비틀림 실험
그림 6.1과 같이 양단에 작용하는 짝힘 T에 의하여 비틀림을 받는 둥근 단면의 봉을 생각하여 보자. 이와 같은 하중 상태를 순수 비틀림이라 한다. 축이 순수 비틀림을 받을 때 비틀림 각의 change(변화)율 dφ/dx는 축의 길이에 따라 일정하므로 상수이다.
이다. 여기서 미소거리 bb는 반경이 r인 원호의 길이로 그 중심각을 dφ라 하면 bb=rdφ이다. 재료의 성질을 살펴보면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인 성질이 있따 재료시험은 재료의 성질 즉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시험하는 것이다.
Download :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hwp( 26 )
설명
순서
공업의 발달로 무수히 많은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따 이것은 공업 재료의 발전이 매우 큰 影響(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공업재료가 사용 목적 및 사용 조건에 적합한가를 시험하고 사용하중의 한계와 변형 능력을 검사하는데 이것이 재료시험의 목적이다. 여기서, L은 축의 길이이다, 그러므로
식 (6.1)과 (6.2)에서 축 표면의 변형율과 전단 응력은 단위 길이당 비틀림 각 θ에 관련이 있다아 또, 축 내부의 응력 상태도 축 표면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응력을 구할 수 있다아 그림 6.1(c)에서 반경 ρ인 축 내부의 요소에 대한 변형률 및 전단 응력은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1661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8/%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20%EB%B9%84%ED%8B%80%EB%A6%BC%20%EC%8B%A4%ED%97%98-1661_01_.jpg)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1661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8/%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20%EB%B9%84%ED%8B%80%EB%A6%BC%20%EC%8B%A4%ED%97%98-1661_02_.jpg)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1661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8/%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20%EB%B9%84%ED%8B%80%EB%A6%BC%20%EC%8B%A4%ED%97%98-1661_03_.jpg)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1661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8/%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20%EB%B9%84%ED%8B%80%EB%A6%BC%20%EC%8B%A4%ED%97%98-1661_04_.jpg)
![[기계공학실험보고서] 비틀림 실험-1661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208/%5B%EA%B8%B0%EA%B3%84%EA%B3%B5%ED%95%99%EC%8B%A4%ED%97%98%EB%B3%B4%EA%B3%A0%EC%84%9C%5D%20%20%EB%B9%84%ED%8B%80%EB%A6%BC%20%EC%8B%A4%ED%97%98-1661_05_.jpg)
이다. 재료시험은 재료의 성질 즉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시험하는 것이다. 선형 탄성재료에서 전단 응력 τ는 다음과 같다. 요소의 길이 dx는 회전하는 동안 change(변화)가 되지 않지만 모서리 각 ∠bac는 change(변화)하여 더 이상 90˚가 아니다. 또, 만약 봉의 총 비틀림 각이 작을 경우 봉의 길이 L나 반경 r은 바뀌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공업 재료의 발전이 매우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공업재료가 사용 목적 및 사용 조건에 적합한가를 시험하고 사용하중의 한계와 변형 능력을 검사하는데 이것이 재료시험의 목적이다. 그러므로
재료시험의 목적 공업의 발달로 무수히 많은 제품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 원형봉의 단면이 대칭성을 고려하면 비틀림이 발생하는 동안에 봉의 단면은 원형을 유지하면서 방경은 직선이고,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강체회전을 할 것이다. 재료의 성질을 살펴보면 기계적, 물리적, 화학적인 성질이 있다.
다. 이 상수는 단위 길이 당의 비틀림 각이고, 이 각을 θ라 하면, θ=φ/L이다. 이 회전 때문에 dx만큼 떨어진 두 단면 사이의 표면 요소 abcd는 그림 6.1(b)에 나타낸 것과 같이 편능형 abdc로 찌그러진 모양이 되므로 점 b와 d는 각각 b와 d로 이동하게 된다된다. 그러므로
[기계工學實驗보고서] 비틀림 實驗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이다.
비틀림을 받는 동안에 보의 한쪽 단은 다른 쪽 단에 대하여 길이 방향의 축에 대하여 회전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아 예를 들어 만약 봉의 왼쪽 단에 대하여 그림 6.1(a)과 같이 각 φ만큼 회전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자. 봉 표면에서 길이 방향의 선nn는 작은 각 만큼 회전하여 nn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이 요소는 순수 전단이고, 전단 변형률 r은 모서리 ∠bac의 감소 양과 같다. 이 요소의 변에 작용하는 전단 응력은 그림 6.1(a)에 나타낸 방향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