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6-19 12:37
본문
Download :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hwp
서구의 십진분류법이 도입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는 오늘날에 있어서도 고서요약에는 거의 사부분류법이 적용되고 있따
도서분류법(圖書分類法)
(1) 경부 분류법 : 경부는 유교의 경전을 비롯하여 그 주석서와 연구서의 분류를 위주로 하는 부문이다. 이러한 분류체계를 사부분류법 또는 경사자집이라 하며, 유ㆍ속의 구분전개와 유ㆍ속 아래의 나라별 세분은 장서의 성격과 규모에 따라 적절하게 신축될 수 있음이 그 특징이다.
도서의 분류법은 동양과 서양의 학문성격, 지식분류의 차이에 따라 그 체계가 크게 다르다. 동양에서는 일찍이 기원전 1세기 초기 당시의 관장목록(官藏目錄)을 편찬하는 데 적용한 칠분법(七分法)이 도서분류법의 효시이다.
설명



다.
레포트 > 기타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
(2) 사부 분류법 : 사부는 일반사서를 비롯
순서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
【사부 분류법】
Download :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hwp( 19 )
다른 분류표에서는 거의 각 경전의 뒤에 두고 있으나, 머리에 두는 것이 논리적인 구분배열이 된다 그것은 외연(外延)이 크고 내포(內包)가 적은 상위개념(槪念)의 명사를 외연이 적고 내포가 큰 명사의 차례(次例)로 점진적으로 구분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이다.
1980년 한국정신文化(culture) 연구원에서는 장서각도서를 인수하고 아울러 자체의 소장본을 요약하기 위하여 <한적분류표>를 만들었는데, 여러 장서목록에 적용된 사부분류법을 두루 참고하여 편찬한 최신의 분류법이라 할 수 있따 그 분류법에 준거하여 각 부별로 분류체계와 중요한 유ㆍ속의 분류방법을 요설하면 다음과 같다. 총경류(總經類)는 사서오경의 정문(正文) 및 주소(注疏)의 합간본을 비롯하여 여러 경의 총의류(總義類)를 분류하는 유문이며, <규장총목>과 <누판고>의 분류법에 따라 각 경전의 머리에 두었다.
동양학의 전주제 분야 資料를 일차적으로 경ㆍ사ㆍ자ㆍ집의 차례(次例)로 사분한 기초구분을 ‘부(部)’라 하고, 각 부를 일정한 전개의 기준에 따라 2차적으로 구분한 것을 ‘유(類)’라 하며, 그 유 아래에서 필요에 따라 3차적으로 구분한 것을 ‘속(屬)’, 그리고 다시 세분한 것을 ‘세속(細屬)’이라 한다.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
[] 도서분류에 대한 조사
일정한 도서분류표에 따라 개개의 도서에 대하여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분류기호를 결정하는 방법. 책의 효율적 이용을 돕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분류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