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발달 theory 을 요약하고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 을 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07 14:20
본문
Download :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hwp
아동발달,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발달 이론
설명
○ 동화 : 이미 경험으로 또는 학습으로 형성된 개념. 외부의 環境에서 새로운 사물이나 정보를 받아들일 때 자기가 이미 가지고 있는 도식에 맞추어 받아들이는 것.
- 아동의 행동은 자극에 대한 reaction(반응)에 의해 일어남
2. 인지 발달 단계
- 전조작기라 부르는 이유는 유아가 정신적 표상에 의한 사고를 할 수 있기는 하지만 아직 개념적 조작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했기 때문
○ 평형화 : 동화와 조절의 인지과정을 통합하고 조정함으로써 평형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
- 인간의 環境에 대한 適應(적응)은 동화와 조절의 상호작용에 의해 일어남
(1) 감각운동기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순서
○ 조절 : 외부의 環境이나 새로운 정보가 기존의 도식에 맞지 않을 때 그 도식을 바꾸거나 수정하는 과정
- 생후 첫 2년
(2) 전조작기(2세~7세경)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발달 theory 을 요약하고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적용할 지에 대해 자신의 견해 을 기술
Download :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hwp( 95 )
- 감각운동기를 여섯 단계로 나누어 설명(explanation)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1715_01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2/%5B%EC%95%84%EB%8F%99%EB%B0%9C%EB%8B%AC%5D%20%ED%94%BC%EC%95%84%EC%A0%9C,%20%EB%B9%84%EA%B3%A0%EC%B8%A0%ED%82%A4%EC%9D%98%20%EC%95%84%EB%8F%99-1715_01_.jpg)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1715_02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2/%5B%EC%95%84%EB%8F%99%EB%B0%9C%EB%8B%AC%5D%20%ED%94%BC%EC%95%84%EC%A0%9C,%20%EB%B9%84%EA%B3%A0%EC%B8%A0%ED%82%A4%EC%9D%98%20%EC%95%84%EB%8F%99-1715_02_.jpg)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1715_03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2/%5B%EC%95%84%EB%8F%99%EB%B0%9C%EB%8B%AC%5D%20%ED%94%BC%EC%95%84%EC%A0%9C,%20%EB%B9%84%EA%B3%A0%EC%B8%A0%ED%82%A4%EC%9D%98%20%EC%95%84%EB%8F%99-1715_03_.jpg)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1715_04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2/%5B%EC%95%84%EB%8F%99%EB%B0%9C%EB%8B%AC%5D%20%ED%94%BC%EC%95%84%EC%A0%9C,%20%EB%B9%84%EA%B3%A0%EC%B8%A0%ED%82%A4%EC%9D%98%20%EC%95%84%EB%8F%99-1715_04_.jpg)
![[아동발달] 피아제, 비고츠키의 아동-1715_05_.jpg](http://www.happyreport.co.kr/prev/201312/%5B%EC%95%84%EB%8F%99%EB%B0%9C%EB%8B%AC%5D%20%ED%94%BC%EC%95%84%EC%A0%9C,%20%EB%B9%84%EA%B3%A0%EC%B8%A0%ED%82%A4%EC%9D%98%20%EC%95%84%EB%8F%99-1715_05_.jpg)
예) ‘개’라는 도식을 지닌 아이가 시골에서 ‘소’를 처음보고 ‘개’라고 말한다고 할 때, 엄마가 “개가 아니고 소라는 것이야” 라고 대답할 것이다. 이 기존의 도식에 새로운 물체인 ‘소’를 끌여들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동화라면, 기존에 지닌 도식과 새로운 물체와의 사이에 차이를 인식해 나가면서 기존의 도식을 변용하는 것이 조절이다.
< Piaget 이론 > 정신 분석학 이론가들이 성격발달에 일차적 관심을 가졌던 반면 인지 이론가들은 사고 발달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인간을 단순히 외부 자극에 대한 反應자 또는 무의식적인 욕구를 지닌 생명체로 보지 않고 의사 결정에서 의식적인 사고 과정을 중요시 하였다.
피아제는 아동이 기존의 도식에 새로운 사상을 동화하거나 동화가 가능치 않은 경우 기존 도식을 수정하여 조절을 하려고 노력하는 과정을 통해 인지 발달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한다.
다. 인간을 단순히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자 또는 무의식적인 욕구를 지닌 생명체로 보지 않고 의사 결정에서 의식적인 사고 과정을 중요시 하였다.
- 감각과 신체운동 간의 관계를 통해 세상을 이해함
< Piaget theory >
정신 analysis학 theory 가들이 성격발달에 일차적 관심을 가졌던 반면 인지 theory 가들은 사고 발달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