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8-20 06:57
본문
Download :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hwp
이것은 그가 경이란 도의 일정함이고, 권도란 도의 변화이며, 도란 경과 권을 관통하는 총체라고 생각한데에 연원한다. 경(權)의 의미는 날줄이다. 곧 전통 유학자들은 이 권을 변화하는 현실 사회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합리적인 균형을 찾는 역할로 생각한다. 세움을 잡는 것이 있지만 함께 권도를 행할 수 없다고 말하는데, 이것으로 보면 권도는 경의 긴요하고 오묘하고 세밀한 곳이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중국) 학 국제학술대회-china(중국) 文化번혁기의 재조명』data(資料)집, 한국china(중국) 학회, 2010년, p97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그는 권도란 최고의 경지에서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보편 법칙인 경을 체득한 사람이 융통성을 발휘하여 시대 상황에 맞게 경을 운용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권도의 실행은 보통 사람이 할 수 있는 경지가 아니고, 오직 성인만 할 수 있다아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중국) 학 국제학술대회-china(중국) 文化번혁기의 재조명』data(資料)집, 한국china(중국) 학회, 2010년, p98
순서
.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권(經)이란 움직임 가운데 어떤 물건의 가벼움과 무거움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균형을 잡도록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아 전통 유학자들은 대부분 이러한 권의 의미를 수용하여 자신의 입론을 펼친다. 도리의 정밀하고 투철하며 완숙한 것을 보지 않는다면 충분히 권도를 행할 수 없을 것이다
.
설명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1-2. 주희의 관점
다. 이것은 결국 그에게 권도의 실행이란 경이 전제되는 상태에서 가능함을 말해준다. 이것은 『설문해자주』에서 언급하고 있듯이, 옛날에 옷을 짤 때에 날줄을 먼저 걸고 씨줄을 후에 넣기 때문에 경은 어떤 것을 규정하는 근거이며 준칙이고 원리의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그는 권도를 보편 법칙인 경을 다양하게 변화하는 구체적인 상황에서 획일적으로 적용시키지 않고 융통성을 발휘하여 운용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경의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 경의 현실적 운용이 바로 권도이다. 따라서 경은 가치 판단의 근거이며 기준을 의미하는 일정한 도리이다. 그에 의하면 보편 법칙인 경이 구체적인 현실에서 경직된 상태로 적용되지 않고 변질되면 안 된다. 그는 공자가 함께 설 수는 있지만, 함께 권도를 행할 수 없다고 한 말에서 세우는 것은 바로 경이고, 함께 설 수 있다는 것은 경을 지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중국) 학 국제학술대회-china(중국) 文化번혁기의 재조명』data(資料)집, 한국china(중국) 학회, 2010년, p104
Download :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hwp( 76 )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원칙과 융통성 및 경쟁과 어울림
주희는 경과 권도가 깊게 관계하지만 궁극적으로 경과 권도는 구별되는 관념이라고 한다. 경의 내용이 변질되면 그 변질된 내용은 더 이상 경이 아니다. 이철승,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제30차 china(중국) 학 국제학술대회-china(중국) 文化번혁기의 재조명』data(資料)집, 한국china(중국) 학회, 2010년, p97
곧 그에 의하면 천하의 일에는 일정함과 변화가 있고, 구체적인 상황에서는 경도 있고 권도도 있다아 일을 일정하게 처리하는 경우에 경을 지키는 것도 성현도 할 수 있고 보통 사람도 할 수 있다아 그러나 예측되지 않는 뜻밖의 상황에서 일을 처리할 때 권도를 행할 수 있는 사람은 보통 사람이 아니라 오직 성인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