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과 표준어 ] [放通大(방통대) 2010-1학기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하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5-04 06:53
본문
Download :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hwp
무분별한 외래어의 사용과 채팅, 메일 등에서 쓰는 통신체 말투, 그리고 국어라 부르기조차 힘든 외계어들로 국어의 맞춤법, 표준어 체계가 파괴되고 있는 것이 지금의 우리 현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1988년 발표된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주요 항목에 대해 살펴보고 평소 잘못 사용하고 있는 맞춤법 세부사항을 되짚어 보고자 한다. 하지만 어려운 시대적 상황에도 불구하고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년)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1936 년)을 공표하여 바람직한 하나의 통일된 언어 사용과 국어 사랑의 토대를 마련했다. (8) 한글 맞춤법의 게릴라 <-이>, <-히> ← 제 51항(제 20항, 제 25항)
설명
- 방통대 2010-1학기 국어국문학과 2학년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 참고 문헌 박대순.「말글과 함께 숨쉬기」.(서울:토마토, 1999) 성기지. 「맞춤법 사슬을 풀어주는 27개의 열쇠」. (서울 : 박이정, 1997) # 참고 사이트 국립국어연구원 http://www.korean.go.kr/search/grammar/spell.html
(1)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3. 헷갈리는 맞춤법
Ⅰ. 서론
(4) 활용어미 <아>와 <어> ← 제 18항의 6
Ⅰ. 서론
(1) <요> 와 <오> ← 제 15항, 제 17항
국어국문학과, 한글맞춤법, 현행 한글 맞춤법, 맞춤법의 원리, 맞춤법
(9) <-할게>와 <-할께> ← 제 53항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9573_01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5%9C%EA%B5%AD%EC%96%B4%ED%98%95%ED%83%9C%EB%A1%A0%5D%20%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2011%5B2%5D-9573_01_.gif)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9573_02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5%9C%EA%B5%AD%EC%96%B4%ED%98%95%ED%83%9C%EB%A1%A0%5D%20%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2011%5B2%5D-9573_02_.gif)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9573_03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5%9C%EA%B5%AD%EC%96%B4%ED%98%95%ED%83%9C%EB%A1%A0%5D%20%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2011%5B2%5D-9573_03_.gif)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9573_04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5%9C%EA%B5%AD%EC%96%B4%ED%98%95%ED%83%9C%EB%A1%A0%5D%20%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2011%5B2%5D-9573_04_.gif)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9573_05_.gif](http://www.happyreport.co.kr/prev/201003/%5B%ED%95%9C%EA%B5%AD%EC%96%B4%ED%98%95%ED%83%9C%EB%A1%A0%5D%20%ED%95%9C%EA%B8%80%EB%A7%9E%EC%B6%A4%EB%B2%95%2011%5B2%5D-9573_05_.gif)
(3) <말라>와 <마라> ← 제 18항의 1.
1. 한글 맞춤법의 원리
(7) <되>와 <돼> ← 제 35항
(2) 한글 맞춤법의 평가
Download : [한국어형태론] 한글맞춤법 11[2].hwp( 29 )
순서
(5) 만듦(O) vs 만듬(X) ← 제 19항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 참고 문헌
국립국어연구원 http://www.korean.go.kr/search/grammar/spell.html
- 放通大(방통대) 2010-1학기 국어국문학과 2학년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Ⅱ. 한글 맞춤법
[맞춤법과 표준어 ] [放通大(방통대) 2010-1학기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하라
한글은 우리나라 고유의 문자 체계로 조선시대에 만들어져서 현대인의 생활에서 사용하고 있는 훌륭한 문자이다. 일제시대 때 일본의 압력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지키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던데 반해 요즘은 오히려 그때보다 우리의 한글 사랑이 덜 한 것 같다. 또한 우리 자신의 모습을 돌이켜 보아도 영어 문법이나 스펠링이 틀린 것은 부끄러워하면서 어법에 맞지 않는 국어의 사용이라든지, 표기법의 오류 등은 부끄러워하거나 따로 공부를 하거나 하지 않는 듯 하다.)
(2) ‘날으는 슈퍼보드’(X) vs `나는 슈퍼보드(O)` ← 제 18항
Ⅲ. 結論(결론)
4. 더 생각해보기
# 참고 사이트
2. 한글 맞춤법의 구성
성기지. 「맞춤법 사슬을 풀어주는 27개의 열쇠」. (서울 : 박이정, 1997)
박대순.「말글과 함께 숨쉬기」.(서울:토마토, 1999)
(6) 오늘이 몇일이냐?(X) vs 오늘이 며칠이냐?(O) ← 제 27항
다. (주석 1988년 개정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총 6장으로 이루어져 있따 1장은 총칙, 2장 자모, 3장 소리에 관한 것, 4장 형태에 관한 것, 5장 띄어쓰기, 6장 그밖의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1장의 총칙과 4장 형태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 시대 때 일본의 한국어 말살 정책으로 한글이 한 때 위축을 길을 걷기도 했다.
언어는 시대의 흐름과 언중의 언어 습관에 따라 變化할 수 있는 歷史(역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언중 사이의 약속은 지켜져야 한다는 사회성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해방이 된 이후 국어에 대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 질 수 있었고 1988년 남한의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발표하면서 표준어는 또 한번 變化를 겪게 된다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