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나비 - 김기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16:30
본문
Download : 바다와 나비 - 김기림.hwp
이 시는 차분함 속에서도 선명한 이미지 제시를 통해 주제를 전달하고 있다 시인의 초기시에서 자주 보였던 딱딱하고 낯선 외래어 사용이 배재되어 있는 이 시는 `바다, 청무우밭, 초생달`이 주는 푸른색과 한 마리 `흰 나비`로 표현되는 색감의 대비는 모더니즘 시의 회화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근대의 문명 앞에 시인 자신이 꿈꾸었던 바가 좌절됨으로써 무기력해지는 모습이 형상화되어 있다
▶ 성격 : 감각적, 상징적 주지주의(1930년대)
▶ 특징 : ① 서글픔과 애처로움이 뒤섞인 관조적 미의식
② 바다, 청무우 밭, 초승달의 푸른빛과 흰나비로 대표되는 흰빛의 색채 대비
③ 바다와 나비 등의 상징적 시어 사용
④ 주관적 해석이나 가치 판단을 배제
⑤ 시각적 심상
▶ 형식 : 3연의 자유시(1연,3연은 2행, 2연은 3행으로 시각적 균형감과 안정감)
▶ 구성 : ① 바다의 무서움을 모르는 나비(1연)
- 의인화된 `그`(흰 나비)의 순진함과 객관적 입장에서 관찰하고 있는 시적 화자의 시선을 통해 감정을 절제하고 사물을 냉정히 바라보는 시인의 태도가 나타나 있다
- 수심 : 알 수 …(drop)
바다와 나비 - 김기림
다. 초기시(『기상도』)에서 자주 보이던 낯선 외래어의 사용이나 경박함이 배제되고, 선명한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연약한 나비와 광활한 바다와의 대비를 통해 ‘근대’라는 엄청난 위력 앞에 절망할 수밖에 없었던 1930년대 후반 한국 모더니스트의 자화상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다
이 시는 영국의 대표적인 시인 ‘S. 스펜더’의 시 『바다의 풍경』 제3연과 유사성을 지닌 것으로, 그의 시에서는 두 마리의 나비가 익사하는데, 김기림의 시에서는 나비가 바다로 내려갔다가 지쳐서 되돌아온다.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작품자료입니다.
Download : 바다와 나비 - 김기림.hwp( 29 )
바다와나비-김기림의
순서
核心(핵심) 요약
▶ 감상의 초점
『바다와 나비』는 1920년대 낭만주의의 병적 감상성과 경향파의 정치적 관념을 부정한 이른바 모더니즘 운동의 대표작이다. 바다와나비-김기림의 , 바다와 나비 - 김기림감상서평레포트 ,






설명
바다와 나비 - 김기림 작품 입니다. ‘나비’는 생명체 곧 인간을, ‘바다’는 죽음 또는 영원을 암시한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