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7 22:35
본문
Download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hwp
대가족이 함께 어우러져 사는 한국의 전통사회에서 상류계층의 주택은 신분과 남녀 및 장유(長幼)를 구별한 공간배치구조를 하였다.레포트/공학기술
설명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하여
Download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hwp( 63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해서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대하여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1.gif)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2.gif)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3.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3.gif)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4.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4.gif)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5.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5.gif)
![[한옥]%20전통주거-한옥에%20대해서_hwp_06.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D%95%9C%EC%98%A5%5D%20%EC%A0%84%ED%86%B5%EC%A3%BC%EA%B1%B0-%ED%95%9C%EC%98%A5%EC%97%90%20%EB%8C%80%ED%95%B4%EC%84%9C_hwp_06.gif)
순서
[한옥],전통주거-한옥에,대해서,공학기술,레포트
[한옥] 전통주거-한옥에 관련되어
목차
한옥
Ⅰ. 마루
1. 마루의 기능
2. 마루구조
3. 마루밑 지반
4. 마루의 재료
Ⅱ. 지붕
1. 지붕의 형상
2. 지붕의 구조
3. 지붕과 한식기와 잇기
4. 한옥 고유의 지붕
가) 우진각지붕집
나) 팔작지붕
다) 맞배지붕
한옥
한옥(韓屋)은 한국의 전통건축양식으로 지은 집이다.
한옥의 형태는 지방에 따라 구조가 다르다. 재료로는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돌과 나무들을 사용했는데, 기둥과 서까래 ? 문 ? 대청바닥…(省略)
다. 상(上)의 공간인 안채와 사랑채는 양반들이 사용했고, 대문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는 행랑채는 하(下)의 공간으로 머슴들이 기거하는 곳이었으며, 중문간 행랑채는 중간계층인 청지기가 거쳐 하는 중(中)의 공간이었다.
또한 한옥은 상류주택과 민가에 따라서도 구조를 달리한다. 이에 비하여 남부지방에서는 바람이 잘 통하도록 방을 한 줄로 배열하는 홑집구조와 마루구조가 발달했다. 북부지방에서는 외부의 냉기를 막고, 내부의 열을 유지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구조로, 방을 두 줄로 배열하는 형태의 겹집구조와 낮은 지붕의 한옥이 발달했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난방을 위한 온돌과 냉방을 위한 마루가 균형 있게 결합된 구조를 갖추고 있는 점이다.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공존하는 한반도의 더위와 추위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한 한국의 독특한 주거형식이다. 서양식 주택, 즉 양옥에 대비한 말이다.
상류주택은 장식적인 면에도 치중하여 주택의 기능면뿐만 아니라 예술적인 가치에서도 뛰어난 건축물이 많이 남아 있다
- 인촌생가 -
그러나 일반서민들은 집을 지을 때도 구조에서부터 재료에 이르기까지 장식적인 면보다는 기능적인 면을 더 중시했다. 즉 집채를 달리 하거나 작은 담장을 세워 주거공간을 상 ? 중 ? 하로 구획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