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시록의 신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11 04:33본문
Download : 묵시록의 신학.hwp
예를 들면 바벨론(14:8;18:2,21)은 로마의 대
칭이며 로마는 악마의 도성을 상징한다. 그러므로 바벨론은 과거 어느시대의 도시가 아니라
오늘날의 어떤 악마의 도성을 뜻하는 것이 될수도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징적인 언어나 그림언어를 신학적으로 해석하고 실존론적으로 이해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생략(省略))
이것은 묵시록의 내용이 어느 특정한 시대적 상황에 관련되어서 해석될 필요가 없
레포트/자연과학
묵시록의 신학
설명
2.상징적 해석법 이것은 묵시록의 내용이 어느 특정한 시대적 상황에 관련되어서 해석될 필요가 없으며 묵시록의 모든 상징적인 표현은... , 묵시록의 신학자연과학레포트 ,
으며 묵시록의 모든 상징적인 표현은...
2.상징적 해석법






,자연과학,레포트
다.
이러한 가운데에서 가장 중요하게 대두하는 사상은 바로 심판사상이다.
이러한 표현은 기성문학의 모방이라기 보다는 신화적인 표현이라고 보는데 이 신화적
인 상징 배후에 숨어있는 영원한 종교적 진리를 찾아내는 신학적인 탐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성격의 도시는 오늘도 내일도 영원
히 이지상 어딘가에 존재한다. 실상 저자가 보았
다는 환상중에는 전통적인 묵시문학 중에서 그대로 따온 것도 있다 이것은 또 future(미래)
에도 이것이 반영될수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이며 근본적인 원리가 되는 것이다.
순서
Download : 묵시록의 신학.hwp( 49 )
2.상징적 해석법
이것은 묵시록의 내용이 어느 특정한 시대적 상황에 관련되어서 해석될 필요가 없
으며 묵시록의 모든 상징적인 표현은 시대를 초월한 하나님의 절대성의 발로라고 하
는 것이다. 즉 묵시록의 모든 상징과 신비적인 숫자들을
문자그대로 이해할 것이 아니라 과거나 현재나 future(미래)를 망라하여 시간을 초월한 실존
론적인 해석이 요구되어지는 것이다. 이 가운데에서 하나님에 대한 사탄의 도전이 여러번 있는데 종국에는 하
나님의 승리로 종결 된다는 의미이다.
3.신학적 해석법
이 방법은 신화로 채색된 묵시록을 신학적으로 해석해 보려는 방법이기 때문에 케
플러는 비신화화 해석법이라고 하였다.
{{ ) T. S. Kepler, The Book of Revelation,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1957, P.25.}}
종말에 있을 심판의 기간을 3년반이라고
표현하였는데(11:9,11; 12:6,14; 13:5) 이것은{{}} 전통적인 다니엘의 재난의 기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