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의 歷史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08 20:22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성의 역사.hwp
삼국 시대의 성은
- 고구려: 고(고), 을(을), 예(예), 송(송), 목(목), 간, 주(주), 마(마), 손(손), 동(동), 채, 연(연), 명림(명임), 을지(을지)
- 백 제 : 여, 사, 연, 협, 해, 진, 국, 목, 국 등의 팔족과 왕, 장, 사마, 수미, 고이, 흑치
- 신 라 : 박, 석, 김 3성과 이, 최, 정, 손, 배, 설의 육부의 6성과 장, 비
등이있고, 왕실의 성인 고(고),여(여),김(김)을 쓴 사람이 가장많았다.우리나라姓의역사 , 우리나라 성의 역사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우리나라姓의歷史



설명
우리나라 성의 歷史에 대한 글입니다.
,경영경제,레포트
순서
우리나라 성의 歷史
다.
고려시대
고려의 태조 왕건은 개국 공신들과 지방 토호세력들을 통…(생략(省略))
Download : 우리나라 성의 역사.hwp( 49 )
우리나라 성의 역사에 대한 글입니다.
삼국사기에도 성을 쓴 사람보다는 없는 사람이 더 많았고, 주로 China에 왕래한 사신들과 유학자와 장보고와 같이 무역을 한 사람들이 성을 사용하였으며, 일반민중은 신라 말기까지 성을 쓰지않았다.
비문에 나타나 있는 내용을 볼때 인명에 성을 사용한 사람이 나타나지 않고 소속부명(촌명)과 이름만 쓴 것을 보면 우리 선조는 성보다 본(촌명)을 먼저 썼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예를 들어 추정해보면,
- 고구려는 장수왕시대(413~490)부터,
- 백제는 근초고왕시대(346~375)부터,
- 신라는 진흥왕시대(540~576)부터 성을 쓴 것으로 기록에서 추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