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청일전쟁』을 읽은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9-17 13:58본문
Download : 『소설 청일전쟁』을 읽고.hwp
Ⅰ. 「소설 청일전쟁」의 줄거리
Ⅱ. 「소설 청일전쟁」을 읽고나서 나서
청일전쟁은 1894년에서 1895년에 걸쳐 청나라와 Japan 양국이 한반도에 놓인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다툰 전쟁이다. 물론 history책이 아니라 소설책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넘어갈 수도 있겠다. 그러나, 중권의 김옥균 암살사건과 동학에 관한 부분은 소설 상중하 전체 의 분량과 비교해 볼 때 상당히 비중있는 분량으로 다루었는데 작가 진순신은 ‘김옥균 암살 후 4개월 만에 청일 전쟁이 스타트된 것’(중권 p. 123)을 유념해 두고 김옥균이 암살된 것이 청일전쟁의 발발과 중대한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고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이는 소설화과정에서 무리를 범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픽션을 중심으로하는 history소설에 가깝다기보다는 history적 사실data(資料)를 철저히 analysis하되 소설형식을 가미한 history책에 가깝다는 생각이 든다. 아니면 민비 일족이라든지. 왜냐하면 조선은 외척세력에 의한 섭정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므로 정…(省略)





순서
『소설 청일전쟁』을 읽은후
설명
『소설 청일전쟁』을 읽고 줄거리와 감상을 작성했습니다. , 『소설 청일전쟁』을 읽고감상서평레포트 ,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소설 청일전쟁』을 읽은후 줄거리와 감상을 작성했습니다. 그리고, 19세기 말의 한반도를 둘러싼 각국의 이해관계를 수많은 사료들을 적절히 배합하면서도 비판적이나 결코 편파적이지는 않은 균형잡힌 시각을 유지하면서 소설형식으로 청일전쟁을 엮어낸 작가 진순신의 탁월한 역량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Download : 『소설 청일전쟁』을 읽고.hwp( 93 )
다.
「소설 청일전쟁」을 읽으면서 청과 조선 그리고 Japan 삼국을 주축으로 국가간의 미묘한 역학관계와 이른바 외교전이라고도 할만한 복잡다단한 19세기말 한반도를 중심으로 돌아가는 주변 상황의 추이를 지켜볼 수 있었다. 예를 들자면 ‘민비일파(一派)’- 민씨 정권이라는 용어가 적당하리라 본다.
또한, 군데군데 거슬리는 용어들이 있었다는 점도 지적할 수 있겠다. 김옥균이 암살됨으로써 청일 양국간의 외교적인 마찰이 야기되었고, 김옥균을 암살한 홍종우를 대하는 조선의 태도에 대해 Japan 내에서 격렬한 여론을 불러 일으켰으며, 시간적으로도 청일전쟁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는 하나, 김옥균이라는 인물을 중권에 70여 페이지에 달해 할해해 놓은 것은 사실의 history를 허구적인 소설로 윤색해 나가는 과정에서 소설적인 요소를 지나치게 남용한 것이 될 것이다.